Express란 무엇일까? ( What is Express )
앞서 설명한 Flask 처럼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프레임워크이다.
Express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전 ( Setting )
윈도우즈 콘솔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였을 때 버전 정보가 뜨면 node js안에 npm이 정상적으로 깔린 것이다.
c:\> npm -v
만약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지않는다면 아래의 사이트에 들어가서 설치를 node.js 설치를 진행하면 된다.
https://nodejs.org/ko/download/
다운로드 | Node.js
Node.js®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's V8 JavaScript engine.
nodejs.org
Express를 시작해보자( Let's start the Express )
[ Manual ]
1. 작업을 할 폴더를 만들어준다.
2. CMD를 열어서 작업을 할 폴더로 들어가준다.
3. npm init 을 진행하여 작업공간으로 지정해준다.
4. npm install express --save 를 진행하여 express 를 설치해준다.
위의 과정을 진행을 했다면, 폴더안에 json 확장자의 파일과 node_modules라는 폴더가 생긴다.
package.json 의 dependencies 라는 키 안에 설치된 파일 목록이 보이게 된다.
( app.js )
var express = require('express')
var app = express()
app.listen(3000, function(){
console.log("start! express server");
});
app.get('/', function(req,res){
res.send("Hello JavaScript");
});
express 함수를 사용하기위해 첫번째 줄에서 express모듈을 express 변수에 require해준다.
app이라는 변수에 express함수를 넣고, app.listen으로 3000포트의 웹서버를 열어준다.
웹서버가 열릴 때, start! express server라고 서버 콘솔에 출력되고, 127.0.0.1:3000/ 위치에 들어가면
Hello JavaScript라는 문구가 뜨게 된다.
큰 메커니즘은 Flask와 크게 다르지 않다.
오늘은 간단하게 express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웹서버를 시작해보았다.
질문이나 피드백이 있으면 kang_4030@naver.com으로 문의해세요~!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Node.js - Ajax 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(0) | 2020.03.20 |
---|